그런데 포트를 죽였는데도 불구하고 간혹 포트 충돌로 인한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는 명령 프롬프트를 켜서 포트가 어디서 쓰이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1. cmd 창에 netstat -a -o 명령어를 입력하여 현재 사용중인 포트 및 PID를 확인한다.
2. 특정 포트의 PID를 확인한다.
톰캣 서버는 8080과 8005를 포트 번호로 사용하기 때문에 8080이나 8005를 찾으면 된다.
목록에서 하나하나 찾아도 되지만 netstat -ano | find "8080" 명령어로 찾아도 된다.
3. taskkill /f /pid (pid번호) 찾은 포트의 PID번호로 특정 포트로 죽이면 된다.
윈도우의 경우, 엑세스가 거부되었다고 뜨는데
이럴 때는 윈도우 검색창에 (화면 하단) 명령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키면 된다.
참고 페이지: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logpyh&logNo=221222936472&categoryNo=0&parentCategoryNo=0
'내가 보려고 만드는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stopped 상태가 지속될 경우 (0) | 2021.01.29 |
---|---|
[Heroku] 서버에 프로젝트 업로드하기 (0) | 2021.01.25 |